2023년 국민대차대조표(잠정)는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공동으로 작성한 자료로, 국민경제 전체 및 개별 경제주체가 보유하고 있는 유·무형 비금융자산과 금융자산/부채의 규모 및 변동 상황을 기록한 표입니다. 이를 통해 경제활동 과정에서 축적된 생산능력 및 재산상태를 파악하고, 경제정책 수립 및 효과 측정 등에 활용합니다.
내용은 모두 한국은행 자료를 출처로 작성되었습니다.

국민 순자산이란?
국민 순자산은 한 국가의 전체 경제 주체들이 소유한 자산의 총합에서 그들이 부담하고 있는 부채를 뺀 나머지 자산을 의미합니다. 이를 통해 국가 전체의 부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.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됩니다.
◘ 국민 순자산의 계산
국민 순자산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
국민 순자산 = 총 자산 − 총 부채
여기서 총 자산은 비금융 자산과 금융 자산의 합계이며, 총 부채는 모든 경제 주체의 부채 합계를 의미합니다.
국민순자산 및 주요 지표
2023년 말 기준, 우리나라의 국민순자산은 2경 3,039조원으로, 이는 전년 대비 472조원(+2.1%) 증가한 수치입니다. 이를 2023년도 대한민국 가구수인 약 2,000만 가구로 나누면, 가구당 약 11억 5,195만 원에 해당합니다.
- 비금융자산: 2경 1,995조원으로 442조원(+2.1%) 증가 (가구당 약 10억 9,975만 원)
- 순금융자산: 1,045조원으로 30조원(+3.0%) 증가 (가구당 약 5,225만 원)
국민순자산의 GDP 대비 배율은 9.6배입니다. 이는 국가 경제 규모와 비교해 우리나라의 자산 규모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
◘ 비금융자산 추계 결과
자산 형태별 분석
- 생산자산: 9,844조원으로 전년 대비 479조원(+5.1%) 증가 (가구당 약 4억 9,220만 원)
- 건설자산: 7,225조원 (+5.4%) (가구당 약 3억 6,125만 원)
- 설비자산: 1,336조원 (+4.8%) (가구당 약 6,680만 원)
- 지식재산생산물: 720조원 (+7.5%) (가구당 약 3,600만 원)
- 비생산자산: 1경 2,151조원으로 37조원(-0.3%) 감소 (가구당 약 6억 757만 원)
- 토지자산: 1경 2,093조원 (-0.3%) (가구당 약 6억 465만 원)
◘ 제도부문별 비금융자산
2023년 말, 제도부문별로 보유하고 있는 비금융자산 규모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가계 및 비영리단체: 9,745조원 (44.3%) (가구당 약 4억 8,725만 원)
- 비금융법인: 7,337조원 (33.4%) (가구당 약 3억 6,685만 원)
- 일반정부: 4,693조원 (21.3%) (가구당 약 2억 3,465만 원)
- 금융법인: 220조원 (1.0%) (가구당 약 1,100만 원)
가계 및 비영리단체와 일반정부는 비생산자산의 비중이 높으며, 비금융법인과 금융법인은 생산자산의 비중이 높습니다.
◘ 경제활동별 고정자산
2022년 말 기준, 경제활동별 고정자산 규모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서비스업: 6,350조원 (72.2%) (가구당 약 3억 1,750만 원)
- 광업·제조업: 1,885조원 (21.4%) (가구당 약 9,425만 원)
- 전기·가스 및 수도업: 410조원 (4.7%) (가구당 약 2,050만 원)
- 농림어업: 84조원 (0.9%) (가구당 약 420만 원)
- 건설업: 70조원 (0.8%) (가구당 약 350만 원)
서비스업과 광업·제조업이 전체 고정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, 서비스업의 경우 공공행정 및 국방, 부동산업 등의 자산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. 광업·제조업은 컴퓨터·전자, 화학 등의 분야에서 자산 증가가 두드러집니다.
◘ 주요 지표 및 변화 요인
- 거래에 의한 증감: 자산의 순취득 및 금융자산의 거래로 인해 국민순자산이 증가합니다.
- 거래 외 증감: 자산 가격 변동 및 기타 비경제적 요인으로 인한 변동이 발생합니다.
결론
2023년 국민대차대조표는 국가의 경제활동 과정에서 축적된 자산과 부채의 총합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며, 경제정책 수립 및 평가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합니다.
생산자산의 꾸준한 증가와 함께 비생산자산의 감소가 특징적이며, 각 제도부문별 자산 보유 형태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습니다. 이는 향후 경제정책 수립 시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.